-
[토공사] 토질주상도 이해하기002. ARCHITECTURE/01. PEAE 2021. 3. 5. 12:24
토질주상도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토질주상도'는 주상도라는 개념 중 한 분류이다.
주상도(columnar section)
지층의 순서, 두께, 종류 등의 관계를 기둥 모양으로 표시하거나
암석 단위층서를 수직으로 나타낸 단면도.
지질주상도, 시추주상도, 탄층주상도, 토질주상도, 강우주상도 등이 있다.
지질주상도의 경우
각 지층의 원래 두께에 따른 축척으로
암상을 나타내는 모양이나 색을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쌓아올리면서 그린다.
지질주상도는
지질조사를 할 때에 인접지역 지층을 비교하고,
같은 지층을 발견하거나
같은 시대의 지층의 두께와 암상의 변화를
조사하는데 유용하다.
출처 : 사이언스올 [과학백과사전]
주상도의 영어단어에서 알수 있듯이
본질은 단면도이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지반의 단면을 알아 보는 방법이
토질주상도, 지질주상도 등 이다.
출처 : 한국창조과학회 http://www.creation.or.kr/ 위에 그림을 문서로 체계화한 것이
토질주상도, 지질주상도 이다.
출처 : 싱크워터 블로그 https://blog.naver.com/tkwater/221899491765
* 지질주상도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사항 *
1. 지반조사지역
2. 조사일자
3. 조사자
4. 보링방법
5. 지하수위
6. 심도에 따른 색조 및 토질
7. 층두께 및 구성 상태
8. N값
*활용방안*
1. 지층의 확인 : 터파기 공법선정, 터파기 공사비 산정
2. 지하수의 확인 : 차수 및 배수공법 선정
3. N값 확인 : 기초설계 및 기초의 안전성 확인
4. 흙막이 공법의 선정
* 토질주상도 정의 *
- 토질주상도는 지반내의 층서층위·층리·층후 등의 토층 단면상태와 포함된 제물질의 상태, 지하수위 등의 입체적 파악을 위하여 축척으로 표시한 설계도서이다.
- Boring test 혹은 SPT로 지반의 경연상태와 지하수위 등을 파악하여, 토층의 단면상태를 예측하고 흙파기흙막이 공법의 종류 및 기계·기구의 선정, 기초의 설계·형식 및 시공에 있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공사를 위한 설계도서이다
'002. ARCHITECTURE > 01. PEA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공사] 철근가공 (0) 2021.09.29 [콘크리트공사] 철근 (0) 2021.09.27 [콘크리트공사] Punching Shear(펀칭전단, 뚫림전단) (0) 2021.09.27 [콘크리트공사] 구조형식의 분류(라멘구조, 벽식구조, 무량판구조) (0) 2021.09.23 [토공사] 설계도서 파악 PROCESS (0) 2021.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