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 ARCHITECTURE/01. PEAE
-
[철골공사] 구멍뚫기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2. 10. 17:16
Ⅰ. 펀칭 - 부재의 두께가 13mm 이하인 경우에 사용하며, 기밀을 요하는 곳이나 주철재인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Ⅱ. 드릴링 - 부재의 두께가 13mm 초과인 경우에 사용하며, 기밀을 요하는 곳이나 주철재인 경우에 사용한다. Ⅲ. 리밍(Reaming, 구멍가심) - reaming은 미리 drill로 뚫어 놓은 구멍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reamer로 구멍을 정확한 치수로 넓히고 또한 내면을 깨끗하게 다듬질 하는 작업이다. - 조립 시 볼트나 리벳구멍 위치가 다를 경우는 리머(Reamer)로 구멍을 깎아 수정한다. - 두 부재의 구멍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리머(Reamer)로 구멍을 깎아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 철골부재를 조립할 때 구멍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보기 좋게 가심(clearing)하며..
-
[지정공사] 기초구조의 종류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1. 24. 20:16
Ⅰ. 기초의 정의 - 구조체의 응력을 지반에 전하는 기초 슬래브와 그 밑에 두어지는 자갈 · 모오리돌 · 말뚝 등의 지정(地定) 등을 총칭해서 기초라 함. - 상부 구조와 대비하여 부를때는 기초 구조라 함. Ⅱ. 기초의 역할 - 건물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들은 슬래브(Slab)→작은 보(Beam)→큰 보(Girder)→기둥(Column)/벽체(Wall)→ 기초(Footing) 와 같은 수평부재들을 거쳐 수직부재들로 전달되었다가 지반(Ground)으로 흘러가는 힘의 경로를 가지고 있다. - 기초는 최하층 기둥 하부에 위치하여 각종 하중들을 최종 집결하여 지반에 전달시키는 장소 - 지반침하 및 파괴에 대하여 구조내력상 안전성을 유지해야하는 중요한 구조요소이다. - 기초는 지반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기초..
-
[콘크리트 공사] 콘크리트의 골재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1. 22. 21:00
Ⅰ. 골재에 요구되는 성질 - 골재는 청경, 견경, 내구적인 것으로 유해량의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을 것. -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 강도 이상일 것. - 골재의 입형은 가능한 구형이나 입방체 - 잔골재는 씻기시험 손실량이 3%이하 일것 -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합되어 있을 것. - 잔골재는 유기불순물 시험 합격할 것 - 잔골재의 염분허용한도는 0.04%이하 일 것 Ⅱ. 골재의 종류와 명칭 1. 골재의 분류 2. 생산방식에 의한 분류 - 천연골재 : 천연작용에 의해 생긴 모래나 자갈 - 인공골재 : 쇄석, 쇄사 - 부산골재 :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 순환골재 : 경화콘크리트를 깨뜨려 만든 골재 3. 크기의 의한 분류 - 잔골..
-
[토공사] 슬러리월 공법(지하연속벽 공법)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1. 15. 20:44
Ⅰ. 정의 - 안정액을 사용하여 굴착한 뒤 지중에 연속된 철근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는 현장 타설 말뚝 공법 - 1950년 초에 이탈리아에서 개발되었으며 슬러리월공법·다이어프램공법이라고도 함. - 댐의 기초로 활용되거나 내진벽·방호벽·진동차단벽의 역할,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가설 토류벽 역할 및 본체 벽으로도 많이 활용됨. Ⅱ. 특징 (1) 장점 ① 저진동, 저소음으로 시공할 수 있다. ② 벽체의 강성이 높다. ③ 벽의 접합부가 구조적 연속성이 있으므로 차수효과가 크다. ④ 공사중 주변지반이나 구조물은 훼손시키지 않는다. ⑤ 톱다운 시공기법등 도심지 고층건물 공사에 적극 이용된다. ⑥ 바레트기초 등과 같은 강체 기초로 이용된다. ⑦ 어떠한 종류의 지질의 지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2) 단..
-
[토공사] 코덴테스트(Koden test)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1. 11. 19:49
Ⅰ. 정의 - 초음파 측벽측정장치로 굴착공의 중심에 센서유닛을 매달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초음파를 발사하여 정확한 수직 단면을 기록하는 장치 - 정확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초공사의 고품질화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 굴착공의 수직도 및 단면현상을 측정하여 최대 100m까지 측정가능한다. Ⅱ. 장비사진 Ⅲ. 개념도 및 시공사진 Ⅳ. 시공시 유의사항 - 센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강속도 일정 - 시험 전 설계도서 자료 검토 - 장비 작동상태 등 정검 Ⅴ. 작업순서 1. 시험기(윈치)설치 2. 코덴 장비 세팅 3. 코덴 설치 및 시험 4. 코덴시험결과 출력 Ⅵ. 시험원리 - 음파의 반사시간을 축정하는 원리 - 굴착공 상부에 센서가 부착된 전자동 윈치를 설치하여 센서를 밑바닥까지 내리면서 센서에서 발..
-
[가설공사] 태풍대비 타워크레인 관리요령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1. 5. 21:52
Ⅰ. 태풍의 정의 - 중심부의 최대속도가 17m/s이상 일때를 말함 * 강풍 시 작업제한 - 순간풍속 10m/s 초과 시 타워크레인 설치, 수리, 점검 또는 해체작업 중지 - 순간풍속 15m/s 초과 시 타워크레인 운전작업 중지 - 순간풍속 30m/s 초과하는 바람 통과 후에는 작업 개시 전 각 부위 이상유무 점검 Ⅱ. 대책 대책1. 자립고(Free Standing) 이상의 타워크레인 Mast 벽체 지지 - 서면심사에 관한 서류 또는 제조사의 설치작업 설명서에 의거한 설치 - 서면심사 서류 등이 없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 건축구조기술사의 등의 확인 - 기종별, 모델별, 공인된 표준방법으로 설치 -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이나 관통 또는 동등이상의 충분한 지지 *피해사례 대책2. 타워크레인 선회제한 장치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