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2. ARCHITECTURE/01. PEAE
-
[석공사] 석재마감공법(2) 건식공법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1:00
Ⅰ. 건식공법의 종류 1. 앵글(Angle)과 플레이트(Plate)를 사용하는 방식 (1) 앵글만으로 지지하는 방식(앵글과 플레이트를 사용한 건식공법) - 석재의 자중을 1차 앵글 2개로 받는다. - 즉 서재 1매에 2개 소지지) 조정과 변위을 고려하여 슬로트홀(Slot-Hole)을 뚫되 묻음앵커축에는 타원형의 세로방향, 석재측에는 가로 방향이 되도록 하여 현장 설치시 충분히 조정이 되도록 한다. (2) 앵글과 플레이트를 사용한 방식 앵글과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석재를 붙이는 방법으로 석재의 양끝 2개 소에 철물을 설치한다. 조정과 층간 변위를 생각해서 앵글, 플레이트 모두 슬로트-홀을 뚫고 플레이트의 촉 구명은 촉의 직경에 정확 히 맞는 크기로 한다. 또한 높이 조정용으로 납으로 된 얇은 판(10mm 각..
-
[석공사] 석재마감공법(1) 습식공법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0:49
Ⅰ. 개요 - 벽석치공법 중 가장 오래된 것이며, 긴결철물 과 채움몰탈로써 서재와 구조체를 일체화한 것 - 돌의 형상, 크기에 따라 소요의 돌두께가 정해지고 긴결철물의 두께, 강도 녹막이, 줄눈으로부터의 빗물 스밈 방지 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Ⅱ. 습식공법 주의사항 - 쇠에 의한 녹이 돌 표면에 나타나 적황색으로 변색하는 것으로 황동제의 긴결철물을 사용한 경우는 문제가 안되나 구조체에 긴결하기 위한 철물인 철근의 녹이 표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이것은 녹막이 처리를 해도 채움몰탈의 두께가 적은 경우 녹이 나므로 밑 바탕면과 돌 뒷면과의 사이는 25~30mm 정도를 유지시켜야 한다. - 이 공법에서 부착력은 채움몰탈에 의한것은 아니고 긴결철물에 의한 것이므로 긴결철물로써 튼튼하게 붙이도록 계획..
-
-
[도장공사] 도장결함(10) 블러스터(Blistering), 부풀음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0:28
Ⅰ. 정의(현상) - 도장된 면이 시간이 경과 후 기포처럼 부풀어지는 현상 Ⅱ. 결함원인 소지와 주변환경과의 온도 차에 의한 경우 도장실 내부 습도가 높을 경우 도장 면이 오염 됐을 경우 스프레이 설비에 수분이 혼입 되었을 경우 Ⅲ. 대책 소지와 주변환경과의 온도를 비슷하게 유지 시킨다. 습도가 너무 높거나 장마철 도장 시 도장면에 습기가 없도록 관리한다. 도장면을 KAR 시리코프 등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유지한다. 주기적으로 스프레이 설비를 청소, 관리한다. *출처 : 제비스코 홈페이지 Ⅳ. 개념도
-
[도장공사] 도장결함(9) 흐름 (Sagging)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0:22
Ⅰ. 정의(현상) - 도장이 두껍게 된 부위가 처지거나 흘러버린 현상 Ⅱ. 결함원인 재도장 시간을 제대로 주지 않은 경우 필요 이상으로 후막도장이 된 경우 도료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 희석을 과다하게 한 경우 도장면에 물기가 잔존한 상태에서 도장한 경우 Ⅲ. 대책 재도장 시간을 충분히 주고 작업을 진행한다. 후막도장 시 과도막이 되지 않도록 한다. 추천 희석비에 맞게 희석한다. 건조된 도장면을 유지한다. *출처 : 제비스코 홈페이지
-
[도장공사] 도장결함(8) 오렌지필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0:19
Ⅰ. 정의(현상) - 도막 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오렌지껍질 표면 처럼 나타나는 현상 Ⅱ. 결함원인 주변온도에 맞지 않거나 잘못된 신나를 사용한 경우 신나 희석량이 적절치 않아 도료 점도가 높은 경우 스프레이압이 너무 낮거나 스프레이 건 구경이 작은 경우 도장실 내부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Ⅲ. 대책 주변온도에 적합한 추천된 신나를 사용한다. 도장실 내부 온도를 낮추고 신나 추천량을 준수한다. TDS에 명기 되어 있는 스프레이압 및 스프레이 건 구경을 준수한다. *출처 : 제비스코 홈페이지 Ⅳ. 개념도
-
[도장공사] 도장결함(7) 색분리, 색번짐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0:16
Ⅰ. 정의(현상) - 2종 이상의 안료가 사용된 도료의 경우 안료 입자의 크기, 비중, 응집성(분산) 등에 따라 안료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어 도막 표면과 하층 색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Ⅱ. 결함원인 사용 전 2액형 도료의 주제와 경화제를 충분히 교반시키지 않을 경우. 신나의 용해력이 부족한 경우. 과량으로 희석한 경우. (라이닝을 3%이상 희석) 조색 시, 성질이 다른 도료를 혼입할 경우. 터치 업 할 경우. (도장용구가 다를 시) 도장 시 온도가 낮아 2액형 도료의 반응이 늦어져 비중이 가벼운 도료가 상층으로 부상할 경우. 라이닝이 턱진 곳으로 아래로 흘러내릴 경우. Ⅲ. 대책 중도나 상도 도장 전 하도 도막을 충분히 검토하고 핀홀이 있을 경우 우레탄 퍼티로 보수한다. 규정 신너를 사용한다. (우..
-
[도장공사] 도장결함(6) 주름-지지미 (Wrinkling)002. ARCHITECTURE/01. PEAE 2021. 10. 20. 20:01
Ⅰ. 정의(현상) - 도장된 면이 평활하지 않고 주름처럼 나타나는 현상 Ⅱ. 결함원인 콘크리트 소지면의 핀홀을 미처리 후 도장한 경우. 용제 증발이 너무 빠를 경우. 두껍게 도장 된 도막이 뜨거운 태양빛에 의해 급격히 온도가 상승할 경우 낮은 도막 두께 1mm 이하로 도장 시 도료의 흐름성이 없어 핀홀을 메울 수 없는 경우. (우레탄 중도 도포 시) 피도물 자체의 온도가 높을 경우. Ⅲ. 대책 중도나 상도 도장 전 하도 도막을 충분히 검토하고 핀홀이 있을 경우 우레탄 퍼티로 보수한다. 규정 신너를 사용한다. (우레탄의 경우 하절 기에는 하절용 신너) 규정 도막두께로 도장한다. (우레탄 중도 1-3mm) 피도물 온도가 낮은 시간대에 도장한다. (하절기는 오후2시 이후 도장) *출처 : 제비스코 홈페이지 Ⅳ..